Google for Education/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클래스룸에서 워크스페이스 유료기능 함께쓰기

주주빠 2022. 3. 12. 07:09

 

들어가는 말

 

Teaching & Learning 업그레이드 버그가 사라진 이후 많은 분들이 불편해하고 계십니다.

이 버그를 널리 알렸던(?!) 사람으로서 아쉬움을 금할 길이 없는데요 (ㅎㅎㅎ)

오늘은 그 아쉬움을 조금이라도 채울 수 있는 대안을 좀 알려드리려 합니다.

 

제가 예전에 마스터클래스 등 몇 개의 강의 등을 하면서, Teaching & Learning 업그레이드 버그가 사라진 이후에 대한 대책을 간략하게 설명드리긴 했었습니다.

 

유료 공동 계정을 2~3개 정도만 만들어서 돌려가며 쓰면 된다.

 

근데 저도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용을 해야 할지는 딱히 아이디어가 없었는데, 올해 복직하면서 실제 제 학교와 제 클래스룸에 직접 적용해 보니 확실한 절차와 방법을 알겠더라고요.

 

학교의 전교사가 모두 자신의 클래스룸에서 자신의 수업 시간에 녹화나 소모임 등의 유료기능을 사용하려면 유료 계정이 몇 개가 필요할까요?

 

학교마다, 시간표 구성에 따라 다르다고요?

 

오늘 제 방법대로 하신다면, 답은 1개!!! 입니다.

 

오늘 포스팅을 절차만 설명드리면 오개념이 생길 수 있을 것 같아서, 간단히 클래스룸 내장 미트의 구조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드리고, 이후에 방법과 절차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클래스룸 미트의 주최자와 공동호스트 지정 원리

 

일단 미트 회의에는 주최자가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부터 주최자가 공동 호스트를 추가할 수 있는데, 만약 주최자가 유료 워크스페이스 계정이라면 공동 호스트도 회의 중 유료 버전에서 제공되는 기능들(녹화, 소그룹, Q&A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눈치 빠른 분들은 벌써 감이 오실 것 같은데 ㅎㅎㅎ

 

그리고 작년에 클래스룸 미트 기능이 업데이트되면서 상당한 혼란이 있었는데요, 공동 교사가 미트 회의를 열 수 없는 이슈가 있었죠. (관련 이슈 해결에 관한 유병선 이노베이터님 블로그 글)

 

구글 미트 - 주최자가 참여하기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내가 주최자인데! 도대체 왜 주최자를 기다린다는거야!! 자 흥분을 가라앉히고 천천히 읽어보세요! 해결책이 이 안에 있습니다. 구글 미트&구글 클래스룸 조합으로 쌍방향 실시간 수업을 진행하

www.tbec.kr

 

이 이슈의 원인은 정확히는 이겁니다.

클래스룸 미트의 작동 방식이
클래스룸에서 미트 링크를 생성하는 그 순간, 그 순간에 사용자에 등록되어 있는 교사들만 소트 해서 공동 호스트로 지정을 하는 겁니다. 링크를 생성한 사람은 주최자가 되는 거고요.

그래서 미트 링크가 생성된 이후에 교사로 초대를 받으면 학생 취급을 받은 겁니다. (2022.03.18. 현재 기능 개선이 되어 미트링크 생성 후에 초대받은 교사도 공동호스트로 문제없이 지정됩니다.)

 


유료 기능 사용을 위한 클래스룸 세팅

 

자 그럼, 클래스룸에서 무료 계정인 일반 교사가 유료 서비스를 활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은 이렇습니다.

유료 계정을 공동 교사로 초대한 후 클래스룸 미트의 주최자로 지정하고, 일반 계정은 공동 호스트가 되어 유료 기능을 빌려 쓴다.

일반 미트 회의와 달리 클래스룸 미트 링크는 재성성 하기 전까지는 회의를 아무리 종료하고 다시 열어도 그 세팅이 바뀌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작업을 딱 한 번만 해 놓으면 이후엔 편하게 유료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답은 개념적인 설명이고요, 구체적인 절차는 이렇습니다.

 

A가 무료 계정 교사로 클래스룸을 생성한 상태. B가 유료 계정이라면

  1. A가 B를 클래스룸에 교사로 초대
  2. B가 수락 (외부 도메인 계정이라면 메일함에 가서 초대 메일 수락을 해야 합니다)
  3. B가 클래스룸 미트 링크 재생성
  4. 이후 B 계정은 클래스룸에 굳이 사용할 필요 없음. A로 들어가도 항상 고급 기능 살아있음. 심지어 B가 클래스룸에서 나가도 링크만 재설정 안 하면 고급기능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물론, 녹화를 사용하신다면 녹화는 B의 구글 드라이브에 들어갑니다. 녹화 파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려면 B의 구글 드라이브의 레코딩 폴더를 공유 폴더로 지정하거나 하는 조치가 필요하겠죠?


구글 트레이너분들은, 구글 클래스룸 설정에서 외부 도메인 허용만 해 주신다면
학교에서 굳이 라이센스를 구입하지 않더라도
가지고 계신 데모웍스로 똑같은 작업을 하실 수 있습니다.


맺음말

 

사실 Teaching & Learning 업그레이드 버그가 사라진 이후에 뭔가 죄송한 마음(?) 같은 게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버그 종료에 대한 완벽한 대안은 되기 힘들겠지만, 어느 정도의 대안으로 선생님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